티스토리 뷰

반응형
본 글은 투자에 대한 권유가 아니며 정보 소개 및 전달을 목적으로 하고 있습니다. 정보 역시 필자의 개인적인 의견이며 객관성을 담보로 하지 않습니다.

차트분석

브릿지바이오테라스가 8000원대를 지지하지 못하고 폭락중입니다.
차트는 현재 다음의 특징을 보입니다.

  • 특정 세력에 의한 지속적 매집의 흔적이 보이지 않는다.
  • 폭락후 아래쪽에서 상승 매집 후 240선 위에서 떠넘기기를 반복해 옴.
  • 7900원-8300원 라인의 지지선이 뚫린 것이 심리적 투매를 불러오는 중.

5월 이후 저점 반등을 노리고 진입하신 분들의 경우 사실 손절이 진작에 이루어졌어야하나 그러지 못한듯 보입니다. 그리고 지난주 금요일과 오늘 투매가 나오는 것이죠. 거래량이 꽤 나온 편이라서 이 물량을 받은 누군가에 의해 반등이 있을 가능성도 있습니다.
 

거래원 분석

아래는 1분봉 차트인데요. 거래량을 동반한 매수가 23일, 25일에 있었습니다.

아래 거래원을 보면 키움증권의 누적 순매수 4만주가 눈에 띕니다. 하루 거래량의 10%정도를 키움에서 순매수한 것입니다.

대략 평균 5700원 정도 매수로 어림잡아지는데요. 현재가에서 6% 정도 위에서 매집이 됐다고 보입니다.
아마 며칠 더 하락세가 이어진다면 매집가도 내려가겠죠. 평균 매집가 위에서 반등하는 것처럼 분위기를 잡은 뒤에 던질가능성이 크다고 보입니다.
 

상폐가능성?

  • 작년 감사 보고서를 보면 최근 2년간 자기자본 50%이상의 법인세 차감 전 계속 사업 손실이 있었으나 기술 성장 특례기업으로 상장한 경우 당장 관리종목 및 상폐 사유가 되지는 않습니다. 
  • 영업손실이 최근 3년 있었으나 2019년에는 흑자였기때문에 2025년 감사보고서 제출까지는 상장폐지 사유가 되지 않습니다.
  • 결과적으로 횡령, 배임 등이 아니면 당장 상장폐지 되지는 않을 것으로 보입니다.

 

대응전략

별다른 악재는 밝혀진바 없으나 워낙 재무상태가 좋지 않은 기업이고, 최근 임상계획 승인에도 주가가 반등하지 못한 점이 결국 투매로 이어지고 있습니다.
다만 횡령, 배임 등이 아니면 당장 상장폐지가 되지는 않는 기업이기 때문에
무작정 투매하는 것보다는 5700-5800원 이상 반등하는 것을 본 뒤에 손절하여 손실을 줄이는 것이 옳겠습니다.
 
다양한 기업 분석 하고 있습니다. 블로그 여기저기 살펴보시면서 함께 공부하시면 좋겠습니다. 

 

금포의 대현자가 분석하는 소형 테마 기업

 

금포의 대현자가 분석하는 주도 업종 대장

 

금포의 대현자와 함께하는 주식 경제 독서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