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반응형

 안녕하세요. 오늘은 애플과 현대차의 대규모언어모델(LLM) 인공지능 제작 뉴스와 함께 대규모언어모델에 대한 정보 인공지능 관련주를 정리해보겠습니다.
 

애플 Ajax 개발

 
 

 

애플, 드디어 AI대전 참전… 美 시총 ‘빅7’ 패권전쟁 총성

애플까지 뛰어들었다. 생성형 인공지능(AI) 시장을 둘러싼 글로벌 빅테크(거대 정보기술) 기업들의 각축전이 갈수록 뜨거워지고 있다. 19일(현지시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애플은 지난해 말

v.daum.net

애플이 대규모언어모델 LLM을 개발하고 있다는 소식입니다. 이름은 에이젝스(Ajax)라고 하며, 챗GPT나 구글의 바드(Bard)처럼 챗봇서비스라고 합니다. 

출처 : 세계일보 - 이지안 기자 - 2023.07.21. 기사 내 그래픽자료

 이미 마이크로소프트, 구글, 메타 등 IT기업들이 AI를 개발하고 있지만 애플의 참전은 느낌이 다른데요. 그 이유는 애플의 폐쇄성 때문에 그렇습니다.
 아이폰을 가진 사람은 챗GPT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아이폰을 가진 사람은 구글의 바드도 이용할 수 있죠. 그런데 아이폰이 없는 사람은 Ajax를 이용하지 못합니다. 이것이 애플의 폐쇄성이며 동시에 경제적 해자입니다.
 그래서 만약 애플이 정말 멋진 LLM 인공지능을 만드는데 성공한다면 위태위태한 안드로이드 스마트폰 진영에 결정타를 날리게 되는 것입니다. 애플의 독주를 막기 위해서라도 MS, 구글, 삼성의 인공지능 투자는 계속될 수 밖에 없겠네요.
 

현대차 챗베이커

 

 

 

[단독]"챗베이커, 챗GPT·바드보다 더 정확"···현대차 'SW중심차 전환' 빨라진다

[서울경제] 포티투닷이 초거대 인공지능(AI) 언어모델과 이에 기반한 생성형 AI 챗봇을 개발하면서 현대자동차그룹의 ‘소프트웨어중심차(SDV) 전환 계획’도 탄력을 받을 것으로 전망된다. SK와 L

v.daum.net

 현대차는 2022년 8월 자율주행 스타트업 포티투닷(42dot)을 인수합니다. 자율주행은 사업영역 특성상 인공지능 개발이 필 수 인데요. 포티투닷의 자율주행 기술을 현대차가 인정한 것이죠. 이후에도 포티투닷은 차량관제시스팀(FMS, fleet management system) 기업을 인수하는 등 자율주행과 관련된 기술을 늘려 나가고 있습니다.
 그리고 대규모언어모델 인공지능인 챗베이커를 개발중인데요. GPT의 고질적인 문제인 환각 현상(할루시네이션)이 적고, 최신 정보까지 업데이트된 답변을 내놓아 긍정적이라는 내부 의견입니다.
 

대규모 언어모델(LLM)이란?

 대규모언어모델 LLM은 인공 지능 모델의 한 분야입니다. LLM은 딥 러닝 기술을 사용하여 텍스트를 이해하고, 사람처럼 문장을 생성하도록 설계되었습니다. LLM의 가장 잘 알려진 예 중 하나는 OpenAI에서 개발한 챗GPT(Chat Generative Pre-trained Transform)입니다.

 LLM에서는 사전 교육 단계가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이 단계에서 모델은 책, 기사, 웹 사이트 등의 다양한 텍스트에 노출됩니다. 이를 통해 LLM은 문법, 의미론 및 기타 언어 뉘앙스를 배울 수 있습니다.
 
 LLM의 강점은 제로 샷 학습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 어떤 분야에 대해서 몇 가지 예만 학습하거나 전혀 예를 들지 않더라도 새로운 분야에 대한 의미 있는 응답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인간이 몇 가지 힌트나 맥락을 제공받음으로써 새로운 개념을 학습하는 것과 같습니다. 다만 이러한 방식으로 거짓정보인 환각 현상을 만들어 내기도 합니다.
 
 그래서 LLM도 윤리적인 부분에 대한 고민이 많이 있습니다. 잘못된 정보를 생성하거나, 정치적 논쟁중인 사안에 대해서 편향된 답을 내놓는 문제가 있죠.
 

인공지능 관련주

 

 

 

대응

 2020년~2021년 코로나 장세에서 소프트웨어&메타버스 기업들이 뜨거웠습니다. 반면, 최근들어서는 에코프로 그룹주, 포스코 그룹주로 대표되는 2차전지 기업에 대한 쏠림 현상으로 대부분의 인공지능 기업들이 하락추세를 그리고 있습니다. 만약 2차전지 쏠림현상이 이대로 끝난다면 인공지능도 다시 한 번 주목받을 수 있겠다는 생각입니다.

 
 인공지능 관련주로 분류되는 기업들 중 지금 당장 대규모 언어모델에서 성과를 보이고 있는 업체는 없습니다. 그러나 인공지능 자체가 미래 수요가 보장된 사업입니다. 게다가 '우리도 인공지능 도입했다'라고 주장하고 싶은 국내 기업 및 기관이 계속해서 늘어나기 때문에 AI솔루션 제공업체들의 일도 계속 될 것이라고 봅니다. 무엇보다 소프트웨어 솔루션 업종 특성상 한 번 시스템을 제공하고 끝이 아니라 시스템을 관리받는데 계속해서 매출이 생기기 때문에 매출이 늘어나는 것이 당연해보입니다.
 
 다만 인공지능이라고 주장하지만 실제로는 기초적인 수준의 알고리즘만 갖고 있는 경우는 경제적 해자가 없기 때문에 도태되기 십상입니다. 옥석가리기가 필요해 보입니다.
 늘상 얘기하지만 주가가 올라가고 있는 회사의 '오르는 이유'를 분석하고, 그 오르는 이유에 투자하세요. 그리고 오르는 이유가 사라질 때까지 투자하면 됩니다.
 
 
 금포의 대현자였습니다. 주식에 대한 다양한 글 적고 있습니다. 블로그 이곳저곳 살펴보시고 주식 투자에 도움되셨으면 좋겠습니다. 감사합니다.

 

소형 테마주 분석

 

주도 업종 대장주

 

뉴스와 기업 분석

 

주식 경제 독서록

 

초보자 주식 공부

 

728x90